안개
1.
아침 저녁으로
샛강에 자욱히 안개가 낀다.
2.
이읍에 처음 와본 사람은 누구나
거대한 안개의 강을 거쳐야 한다.
앞서간 일행들이 천천히 지워질 때까지
쓸쓸한 가축들처럼 그들은
그 긴 방죽 위에 서 있어야 한다.
문득 저 홀로 안개의 빈 구멍 속에
갇혀 있음을 느끼고 경악할 때까지.
어떤 날은 두꺼운 공중의 종잇장 위에
노랗고 딱딱한 태양이 걸릴 때까지
안개의 軍團은 샛강에서 한 발자국도
이동하지 않는다.
출근길에 늦은 여공들은
깔깔거리며 지나가고 긴 어둠에서
풀려나는 검고 무뚝뚝한 나무들 사이로
아이들은 느릿느릿 새어나오는 것이다.
안개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처음 얼마 동안 보행의 경계심을
늦추는 법이 없지만, 곧 남들처럼
안개 속을 이리저리 뚫고 다닌다.
습관이란 참으로 편리한 것이다.
쉽게 안개와 식구가 되고 멀리 송전탑이
희미한 동체를 들어낼 때까지
그들은 미친 듯이 흘러다닌다.
가끔씩 안개가 끼지 않는 날이면
방죽 위로 걸어나가는 얼굴들은
모두 낯설다. 서로를 경계하며 바쁘게
지나가고, 맑고 쓸쓸한 아침들은 그러나
아주 드물다. 이곳은 안개의 聖域이기
때문이다.
날이 어두워지면 안개는 샛강 위에
한 겹씩 그의 빠른 옷을 벗어놓는다.
순식간에 공기는 희고 딱딱한 액체로
가득 찬다. 그 속으로 식물들, 공장들이
빨려 들어가고 서너 걸음 앞선 한 사내의
반쪽이 안개에 잘린다.
몇 가지 사소한 사건도 있었다.
한밤중에 여직공 하나가 겁탈당했다.
기숙사와 가까운 곳이었으나 그녀의
입이 막히자 그것으로 끝이었다.
지난 겨울엔 방죽 위에서
醉客 하나가 얼어 죽었다.
바로 곁을 지난 삼륜차는 그것이
쓰레기 더미인 줄 알았다고 했다.
그러나 그것은 개인적인 불행일 뿐,
안개의 탓은 아니다.
안개가 걷히고 정오 가까이
공장의 검은 굴뚝들은 일제히
하늘을 향해 젖은 銃身을 겨눈다.
상처입은 몇몇 사내들은
험악한 욕설을 해대며 이 폐수의
고장을 떠나갔지만 재빨리 사람들의
기억에서 밀려났다. 그 누구도
다시 읍으로 돌아온 사람은
없었기 때문이다.
3.
아침 저녁으로 샛강에 자욱이 안개가 낀다.
안개는 그 읍의 명물이다.
누구나 조금씩 안개의 주식을 갖고 있다.
여공들의 얼굴은 희고 아름다우며
아이들은 무럭무럭 자라 모두를
공장으로 간다.
-기형도-
<안개>는
기형도 시인의 등단 작품입니다.
이 시의 시적 공간은 축축한 기체로
채워져 있습니다. 움직이면 피부가
긁힙니다. 금속성의 기체가 있다는
말은 듣지 못했습니다. 움직일 때마다
약간씩 따끔한데 조금 시간이 지나자
견딜만하고 더 시간이 지나자 고통이
사라집니다.
이 기체는 금속성에 마취성분까지
있나 봅니다. 작고하신 김현 선생님은
그의 시를 두고 그로테스크 리얼리즘
이라 했습니다.
그의 시가 일상(사실)을 낯설게 혹은
기괴하게 만드는 것을 두고 한 말일
것입니다.
안개는 읍의 명물입니다.
하지만 이 고장의 안개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춘천 공지천의 안개처럼
낭만적인 것이 아닙니다.
시인은 안개의 몽환적이고 환상적인
이미지를 두렵고 잔혹한 것으로 만듭니다.
더욱이 안개가 끼는 것이 아침저녁으로
반복되는 일상이라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습니다.
우리는 일상의 반복을 습관이라 합니다.
습관은 우리 스스로가 익히기도 하지만
어떤 목적을 지닌 사회시스템에 의해
길들여지거나 무감각해져 있는
상태이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안개에 노출된 사람들은
자각 없이 홀린 듯이 흘러 다닙니다.
그런 후 어느 날 문득 안갯속에 있다는
것을 알고 경악합니다.
왜 경악할까요?
물론 안갯속에서 길 잃음은 당황스러운
상황입니다. 하지만 ‘경악’처럼 과장된
제스처는 뭔가 어울리지 않는 모습입니다.
일반적인 경우라면 숨을 고르고
안개가 걷치기를 기다려, 왔던 곳으로
되돌아가면 별문제가 없습니다.
이 시가 괴이하고 공포스러운 것은
화자가 추억하는 곳이 이미 지상에서
소멸되었거나 해체되어가는
시공간이기 때문입니다.
이 읍의 사람들이 미친 듯이
흘러 다니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습관 이전에 습관에 길들여진
근본적인 이유는 무엇일까요.
시인은 그 이유를 타인의 불행을
방관하거나 그 불행에 책임이 있으나
침묵하는 집단적인 무의식을
안개로 표상합니다. 그래서 안개가
끼지 않는 날은 오히려 낯설고
드문 것입니다.
역설적으로 안개 탓은 아니라는 말은
안개 탓으로 읽힙니다. 가해자도 피해자도
개별자로 남고 불행은 단순히 자연재해처럼
불운한 사고로 여겨집니다.
몇 년 사이 사회적 이슈가 되었던
사건들을 생각해 보세요. 당시에는
이러한 풍조가 더 했겠지요.
그래서 안개는 침묵하는 시대며,
또한 그 내부에 꿈틀거리는 성장과
상승의 욕망입니다.
공장의 굴뚝 연기는 하늘을 향해
총신처럼 겨눠져 있습니다.
쉴 새 없이 누군가를 밟고
사살하고 올라가는 것이 최선이며
정의인 안개의 성역(聖域)이었습니다.
누구나 안개의 주식을 가지고 있지요.
누구나 조금씩 탐욕과 손을 잡고 있습니다.
이 한국이라는 소읍, 우리가 지나왔던
70·80년대는 농촌과 대가족이 빠르게
해체되고 있었습니다.
외형적으로 성장 제일주의,
독점 자본주의 사회였습니다.
국가 주도의 경제성장은 세계적인
경기 호황과 맞물려 누구나 장밋빛
미래를 꿈꾸었습니다.
많은 농촌인구가 도시로 몰려가
임노동자가 되었고 대도시 주변의 소읍은
빠르게 공업화되었습니다. 돈을 벌기 위해
도시로 도시로 사람들이 몰렸습니다.
물신(物神)의 시대였죠.
그러므로 기형도 시인이 말하는
안개의 고장은 부도덕한 욕망이 용인되고
오히려 장려되는, 숨 막힐 듯 빽빽한 안개,
독가스로 가득찬 시공간입니다.
자본에 코 끼어 하루하루를
비정규직과 알바로 버티는 청년들을
보면 지금의 상황이 더 좋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나은 점이라면
입이 막히지 않은 것입니다.
막히지 않은 말과 행동이 모여
오늘이 있는 것이니까요.
아래와 같은
문장에서 안개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확인해 보겠습니다.
‘개인적인 불행일 뿐,
안개의 탓은 아니다.’
개인과 안개를
짝으로 보면 안개는 문제의식이 부재한
사회로 여겨집니다.
이 문장은 화자가 ‘몇 가지
사소한 사건’이라 말한 여공의
겁탈사건과 취객의 사고사와 묶여
있습니다. 앞서 말했듯이 이 역설적인
진술은 너무나 일상적이어서
기괴합니다.
사람이 사람으로 대접받지 못하고
쓰레기더미 취급이나 받는 사회가
제대로 된 사회일 수는 없습니다.
마치 아침에 일어나 학교나
공장에 가듯이 누군가 죽고 잊혀지고
있었다. 이러한 광경을 보고 있는 사람이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시를 쓴다는 것은
자기 모순입니다. 아니 희망을 갖는다는 것은
어찌 보면 시인에게는 부정직한 것이라고
여겨졌을지 모릅니다.
그가 선택할 수 있는 것은
세계를 적으로 돌리거나 새까맣게
칠하는 것이었을 겁니다. 이 짜여진 듯한
차갑고 축축한 그러나 금속성의 틀은
쓸쓸한 짐승에게 채워진 족쇄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기형도 시인이 어느 쪽이었냐는
추측만 할 뿐입니다. 그가 <빈집>에
가둔 것은 무었이었을까요?
짧은 생의 말미에 변화의 기미가
보였지만 김현 선생님의 말처럼
채 피기도 전에 그 기로에서
넘어졌습니다. 젊은 시인의 죽음은
이유가 어찌 되었든 그 시대가
불온했다는 것을 방증합니다.
어제가 아무 일 없다는 듯이
간단히 표백되어 오늘이 되고 아이들은
자라서 공장으로 가 자본의 노예로
살아갑니다. 이런 뒤틀린 일상이
정상으로 받아들여진다면 안개는
걷치지 않습니다. 여전히 이 고장의
명물은 안개가 될 것입니다.
-전기 수리공-
좋은시詩 & 시평 감사합니다
http://www.loaloachristiannetwork.com/
<Photo & Info from a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