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걱정

엄마 걱정

열무
삼십 단을 이고
시장에 간 우리 엄마

안 오시네,
해는 시든 지 오래

나는
찬밥처럼
방에 담겨 아무리
천천히 숙제를 해도
엄마 안 오시네,

배추잎 같은
발소리 타박타박
안 들리네.

어둡고 무서워
금간 창 틈으로
고요한 빗소리

빈 방에
혼자 엎드려
훌쩍거리던
아주 먼 옛날

지금도
내 눈시울을
뜨겁게 하는

그 시절,
내 유년의 윗목

-기형도-

<기형도>

기형도(奇亨度)
(1960년  ~ 1989)는
대한민국의 시인 겸 언론인이다.
유고 시집으로 《입 속의 검은 잎》,
《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가 있다.

출생
1960년 3월 13일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경기도 옹진군 송림면
(現 인천광역시 옹진군 연평면)

사망
1989년 3월 7일 (28세)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낙원동에서 뇌졸중으로 병사

직업
작가, 언론인

국적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종교
천주교
(세례명: 그레고리오)

활동기간
1984년 ~ 1989년

장르
시문학

부모
기우민(부), 장옥순(모)

형제
기만도(형)
기웅도(형)
기세도(누나)
기애도(누나)
기순도(누나)

기형도가 살던 집

1960년 3월 13일 옹진군
연평도에서 공무원인 기우민의
3남 4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아버지
기우민의 고향은
황해도였고 그곳에서 교사를
하였으나 한국 전쟁 중 연평도로
피난하여 그곳에서
살게 되었다.

연평도에서는
면사무소 공무원을 하였다.
간척 사업에 손을 대었다가
크게 실패하고 1965년 경기도 시흥군
서면 소하리(현 광명시 소하동)로
이주했다.

소하리의 집은
아버지가 직접 지은 것이다.
근처에 기아자동차 공장이 자리잡고
있었고 안양천을 따라 둑방길이
이어져 있었다.

지금은 철거되어
창고가 자리잡고 있다.
소하리의 이러한 풍경은 그의 시
작품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그가 살던 마을에는
안개가 자주 끼었고 안개 속을
뚫고 노동자들이
일터로 향했다.

기형도가 살던 곳은
소하리였지만 학교는
서울로 통학하였다.

서울의
시흥초등학교,
신림중학교를 거쳐
중앙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79년 연세대학교에
입학하였다.

1969년 아버지가
뇌졸증으로 쓰러졌다.
이후 어머니가 생계를 꾸렸다.

시장에 나가는
어머니의 모습 역시
기형도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한양대
국어국문학과 유성호는
윤동주를 닮고 싶어한  기형도의
시작 활동에 녹아 있는 어린 시절은
윤동주의 동화 속과 같은 모습이
아니라 절박한 삶의
모습이었다고
평한다.

기형도는
녹녹치 않은
살림을 걱정하며 어머니를
생각하는 어린 시절을
보냈다.

1975년
공장을 다니던
바로 위의 누나가 사망하였다.

몸져 누운
아버지와 일찍 죽은 누이는
기형도의 마음에
큰 상처가
되었다.

누이가
죽은 뒤 부터
시를 쓰기 시작하였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다녔으나
대학 생활에 큰 부분을 차지한 것은
연세문학회였다.

1980년
서울의 봄을 맞아
연세대학교 학보에
〈노마네 마을의 개〉를
기고하였다가 공안당국에
끌려가 조사를 받았다.

1981년
휴학하고 방위로
소집되어 안양에서
근무하였다.

이 시기
경기도 안양의
문학동인지 《수리》에
참여하였다.

1983년 복학하여
〈식목제〉로 《연세춘추》가
시상하는 《윤동주문학상》을
수상하였다.

1985년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동아일보 신춘문예
시 부문에 〈안개〉가
당선되었다.

졸업 전인 1984년
중앙일보에 입사하여 정치부,
문화부, 편집부 기자로
일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문학사상》,
《현대문학》, 《한국문학》과 같은
문학지에 지속적으로
작품을 발표하였다.

1989년 3월 7일
새벽 종로의 파고다극장에서
심야 영화 영화를 관람하다가
뇌졸증으로 사망하였다.

기형도는
평소에도
혈압이 높았으며
자신이 오래살 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기형도는
종종 심야 동시상영
극장을 자주 다녔고, 전날에도
작가 김태연과 다음날 자정에
극장에서 보자고
통화하였다.

당시 파고다극장은
《뽕 2》와 《폴리스 스토리》를
연이어 상영하고 있었지만, 《뽕2》 상영을
마친 뒤 극장 안을 정리하던 경비원이
발견하여 다음날 동아일보는
기형도가 《뽕2》를 관람하다
사망하였다고 기사를
내보냈다.

파고다극장은
건물은 그대로 있지만
고시원으로
변했다.

기형도는
장례를 치른 후
안성의 천주교 묘지에
묻혔다.

묘비에는
세례명 “그레고리오”가
새겨져 있다. 기형도의 무덤은
문학을 동경하고 시를 꿈꾸는
이들에게 일종의 성지다.

2년 뒤에는
그의 아버지도 그의
옆에 묻혔다.

시인의 요절과
죽음의 그림자 짙게
드리워진 시집은 이후
기형도 신화를
빚어냈다.

같은 해 5월
유고시집 《입 속의 검은 잎》이
발간되었으며, 유고시집의 제목은
평론가 김현이 정했다.

김현은
당시 중앙일보에
월간 시평을 쓰고 있었는데
1988년 6월에 기형도의 시를 평론한
원고를 기고하였다.

문화부에서 월간 시평을
담당하고 있던 기형도는
자신의 시에 대한 평론을 차자 자신이
정리할 수가 없어 김현에게
전화를 걸어 원고 수정을
요청한 일이 있었다.

김현은
《입 속의 검은 잎》의 해설
〈영원히 닫힌 빈방의 체험〉을 썼으며
“영원히 닫힌 빈방의 체험은
젊은 시인을 위한 진혼가”
라고 썼다.

김현 역시
1년여 뒤 사망하였다.

1990년 산문을 모아
《짧은 여행의 기록》이
출간되었고 1994년 미발표

유고 시를 모은
《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가 나왔다.
1999년 《기형도 전집》이
정리되어 나왔다.

2017년 광명시는 기형도문학관을 개장하였다.

작품목록

문학사상 :
〈어느 푸른 저녁〉(1985년 12월호),
〈植木祭〉(1987년 4월호), 〈여행자〉,
〈장미빛 인생〉(1987년 9월호),
〈흔해빠진 독서〉〈노인들〉(1988년 5월호),

〈바람의 집—겨울 版畵 1〉,
〈삼촌의 죽음—겨울 版畵 4〉
(1988년 11월호)

문학과사회 :
〈정거장에서의 충고〉,〈가는 비 온다〉,
〈기억할 만한 지나침〉(1988년 겨울호)

시집 편집
《입 속의 검은 잎》 (1989)
《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 (1994)
산문집 편집
《짧은 여행의 기록》 (1990)
전집 편집
《기형도 전집》 (1999)

좋은시詩  감사합니다
‪http://www.loaloachristiannetwork.com/‬
<Photo & Info from app>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