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닷가 우체국

바닷가 우체국

바다가
보이는 언덕위에
우체국이
있다

나는
며칠 동안
그 마을에 머물면서
옛사랑이 살던 집을
두근거리며 쳐다보듯이
오래오래 우체국을
바라보았다

키 작은
측백나무 울타리에
둘러싸인 우체국은 문 앞에
붉은 우체통을
세워두고

하루 내내
흐린 눈을
비비거나 귓밥을
파기 일쑤였다

우체국이
한 마리 늙고 게으른
짐승처럼 보였으나
나는 곧 그 게으름을
이해할 수
있었다

내가
이곳에 오기
아주 오래 전부터

우체국은 아마
두 눈이 짓무르도록
수평선을 바라보았을
것이고

그리하여
귓속에 파도소리가
모래처럼 쌓였을
것이다

나는
세월에 대하여
말하지만 결코 세월을
큰 소리로 탓하지는
않으리라

한번은
엽서를 부치러
우체국에
갔다가

줄지어
소풍 가는
유치원 아이들을
만난 적이
있다


어린시절에
그랬던 것처럼

우체통이
빨갛게 달아오른
능금 같다고 생각하거나
편지를 받아먹는 도깨비라고
생각하는 소년이 있을지도
모르는 일이었다

그러다가
소년의 코밑에 수염이
거뭇거뭇 돋을 때쯤이면
우체통에 대한
상상력은
끝나리라

부치지
못한 편지들
가슴속 주머니에
넣어두는 날도 있을
것이며

오지 않는
편지를 혼자 기다리는
날이 많아질

사랑은
열망의 반대쪽에 있는
그림자 같은 것

그런
생각을 하다 보면
삶이 때로 까닭도 없이
서러워진다

우체국에서
편지 한장 써보지 않고
인생을 다 안다고 말하는
사람들을 또 길에서
만난다면

나는
편지봉투의
귀퉁이처럼 슬퍼질
것이다

바다가
문 닫을 시간이 되어
쓸쓸해지는
저물녘

퇴근을
서두르는
늙은 우체국장이
못마땅해할지라도
나는 바닷가 우체국에서

만년필로
잉크냄새 나는
편지를 쓰고 싶어진다

내가
나에게 보내는
긴 편지를 쓰는
소년이 되고
싶어진다

나는
이 세상에
살아남기 위해
사랑을 한 게
아니었다고

나는
사랑을 하기 위해
살았다고

그리하여
한 모금의 따뜻한
국물 같은 시를
그리워하였고

한 여자보다
한 여자와의 연애를
그리워하였고

그리고
맑고 차가운 술을
그리워하였다고

밤의
염전에서
소금 같은 별들이
쏟아지면

바닷가
우체국이 보이는
여관방 창문에서
나는

느리게
느리게 굴러가다가
머물러야 할 곳이
어디인가를
아는

우체부의
자전거를
생각하고

이 세상의 모든 길
우체국을 향해 모였다가
다시 갈래갈래
흩어져

산골짜기로도
가는 것을
생각하고

길은
해변의 벼랑 끝에서
끊기는 게
아니라

훌쩍
먼바다를
건너가기도 한다는
것을 생각한다

그리고
때로 외로울 때는
파도소리를 우표속에
그려넣거나

수평선을
잡아당겼다가
놓았다가
하면서

나도
바닷가
우체국처럼
천천히 늙어갔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안도현-

좋은글 감사합니다
‪http://www.loaloachristiannetwork.com/‬
<Photo from app>

No Love, No Mercy

No Love, No Mercy

slanderers,
God-haters,
insolent, arrogant
and boastful;

they invent
ways of doing evil;
they disobey their
parents;

they
have no
understanding,
no fidelity,

no love,

no mercy.

Although
they know
God’s righteous
decree

that
those who
do such things
deserve
death,

they
not only
continue to do
these very
things

but
also approve of
those who
practice
them.

Romans 1:30-32

비방하는 자요

하나님께서
미워하시는 자요
능욕하는 자요 교만한 자요
자랑하는 자요

악을 도모하는 자요
부모를 거역하는
자요

우매한 자요
배약하는 자요

무정한 자요

무자비한 자라

그들이
이같은 일을
행하는 자는
사형에 해당한다고

하나님께서
정하심을
알고도

자기들만
행할 뿐 아니라

또한
그런 일을
행하는 자들을
옳다 하느니라

로마서 1:30-32

Holy BIBLE
New International Version (NIV)
성경/개역개정

***

LLCN
http://www.loaloachristiannetwork.com/

<Photo from app>

대숲이 푸른 이유

대숲이 푸른 이유

대숲의
푸른 머리카락을
빗질하려고

바람이
대숲으로
들어가네

댓잎들이
배때기를 일제히
뒤집은 채

바람을
밀어내려고
버티네

이것 좀 봐
화가 잔뜩 난
바람이

한 손으로
대숲의 머리채
휘어잡고

한 손으로
대숲의 종아리
후려치네

대숲이
왜 저렇게
푸르냐
하면

아으,
한평생 서서
매맞은 탓이라네

-안도현-

좋은글 감사합니다
‪http://www.loaloachristiannetwork.com/‬
<Photo from app>

 

The “Nth Room” Case

The “Nth Room” Case

The “Nth Room” case(Korean: n번방 사건; Hanja: n番房 事件) is a criminal case involving blackmail, cybersex trafficking, and the spread of sexually exploitative videos via the Telegram app between 2018 and 2020 in South Korea. A man nicknamed god god (Korean: 갓갓) sold sexual exploitation videos on Telegram channels and groups.

A copycat crime, known as the “Doctor’s Room”, (Korean: 박사방; Hanja: 博士房; RR: baksabang) was operated by a man using the screen name Doctor (Korean: 박사; Hanja: 博士; RR: Baksa, later revealed to be Cho Joo-bin, who is accused of blackmailing dozens of women, forcing them to take sexually exploitative videos, with some involving rape.

The number of confirmed victims is at least 103, including 26 minors.

*
The judge of ‘the god god case’ is now questioned by angry S. Korean Public that why this man is not severely punished yet? And Why he is going out of loopholes?
S. Korean Public deeply concern this kind of luke warm punishment will only encourage copy cat criminals do more of similar crimes.

2019년 2월부터 수십여 명의 여성을 궁지에 몰아넣어 성착취 영상물을 찍게 하고, 이를 텔레그램을 통해 거래한 디지털 성범죄 사건.

박사방의 경우 2,000건 이상의 거래내역을 경찰이 확보한 상태이며, 공식적으로 알려진 박사방 피해 여성 74명 중 16명이 미성년자라는 사실이 알려지며 논란이 더 커졌다. # 2019년 9월 추적단 불꽃의 최초 보도를 시작으로 2019년 11월 한겨레의 단독 보도 내용이 트위터에서 공유되며 화제가 되기 시작했고, 12월에 텔레그램 성착취 신고 프로젝트 리셋(ReSET)이 시작되면서 증거 수집이 가속되었다. 이후 1월에 n번방 관련 국민청원이 10만 명의 청원으로 마무리되었고, 사건 수사가 급속하게 진전되어 2020년 3월 16일~17일, 텔레그램 본사 운영진[2]들의 협조와 경찰의 수사로 ‘박사방’ 운영자 ‘조주빈’이 검거되고 여러 언론에 대대적으로 보도되면서 대중들에게도 알려지게 되었다.

<Photo & Info from App>

His will


His will

Be
joyful
always;

pray
continually;

give
thanks in all
circumstances,

for
this is
God`s will
for you

in
Christ Jesus.

1Thessalonians
5: 16-18

항상
기뻐하라

쉬지 말고
기도하라

범사에
감사하라

이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를
향하신

하나님의
뜻이니라

데살로니카 전서
5: 16-18

Holy BIBLE
New International Version (NIV)
성경/개역개정

***

LLCN
http://www.loaloachristiannetwork.com/

<Photo from app>

그늘

 

그늘

누가
기뻐서
시를 쓰랴

강가에서
새들은 날아가고

때로는
횡재처럼
눈이 내려도

사는 일은
대부분 악착같고
또 쪼잔하다

그걸
혼자 버려두면
가엾으니까

누가 뭐라던
그의 편이
되어주는
것이다

나의 시는
나의 그늘이다

-이상국-

좋은글 감사합니다
‪http://www.loaloachristiannetwork.com/‬
<Photo from app>

 

Disguising

Disguising

We are
so accustomed to
disguise ourselves
to others

that
in the end
we become
disguised to
ourselves.

-François de La Rochefoucauld-

위선의 가면

우리는
다른 사람들 앞에서
위선의 가면을 쓰는데
너무나도 익숙해져서

결국에는
우리가 우리 자신에게 까지
거짓의 가면을
쓰게 된다.

-프랑수아 드 라 로슈푸코-

 

François de La Rochefoucauld

François VI, Duc de La Rochefoucauld, Prince de Marcillac (French: [fʁɑ̃swa d(ə) la ʁɔʃfuko]; 15 September 1613 – 17 March 1680) was a noted French author of maxims and memoirs. He is part of the literary movement of classicism and best known for his maxims. Although he only officially published his Memoirs and his Maxims, his literary production is dense.

Born in Paris in 1613, at a time when the royal court was vacillating between aiding the nobility and threatening it, he was considered an exemplar of the accomplished seventeenth century nobleman. Until 1650, he bore the title of Prince de Marcillac. His great-grandfather François III, count de La Rochefoucauld, was killed in the St. Bartholomew’s Day massacre, being a Huguenot.

 

프랑수아 드 라 로슈푸코

라 로슈푸코
(1613~1680)
François de  La Rochefoucauld 프랑수아 드 라 로슈푸코
국적  프랑스 
활동분야  문학 
출생지  프랑스 파리 
주요작품  《잠언(箴言)과 성찰》(1665)

17세기 프랑스의 고전작가·공작. 당시 살롱에서 유행하던 문학양식에 따라 저술, 발표한 작품이《잠언과 성찰》(1665)이다. 간결·명확한 문체로 인간 심리의 미묘한 심층을 날카롭게 파헤치고 있다. 
 

 
 
 
본문  파리 출생. 명문 귀족의 아들로 전통에 따라 군복무를 마친 후 궁정에 돌아갔다. 순정다감한 성질의 소유자로 자주 정치적 음모에 휘말려들어, 루이 13세의 왕비가 계획한 반(反)리슐리외의 음모에 가담하여 투옥되는가 하면, 프롱드의 난(亂)에서는 반란군의 지휘를 맡고 싸우다가 1649년 파리성(城) 밖의 전투에서 목에 중상을 입는 등, 파란 많은 반생을 보냈다. 1659년 가까스로 오랜 세월에 걸친 근신에서 풀리고 8,000루블의 연금을 받게 되자, 정치적 야심을 버리고 파리의 이름 있는 살롱에 출입하며 사색과 저술로 후반생을 보냈다.

그 당시 살롱에서 유행하던 문학양식에 따라 저술, 발표된 작품이 《잠언(箴言)과 성찰 Réflexions ou sentences et maximes morales》(1665)이다. 이 초판은 1678년의 제5판에 이르기까지 여러 차례 정정 ·추가 또는 삭제가 가해져 504개의 잠언이 실려지게 되었는데, 간결 ·명확한 문체로 인간 심리의 미묘한 심층을 날카롭게 파헤치고 있다.

믿을 수 없는 인심의 허실을 남김없이 체험한 저자의 눈은 시종일관 신랄하고 염세적이며, 모든 위선을 날카롭게 벗기고 있다. “우리의 미덕이란 가장 자주 위장되는 악덕에 지나지 않는다.”라는 그의 머리말처럼 인간의 행위란 한 꺼풀만 벗기면 모두가 이기심이나 자애심에서 나온다는 것이 이 페시미스트의 근본사상이다.

 

Translation Provide by LLCN
http://www.loaloachristiannetwork.com/

좋은글 감사합니다
‪http://www.loaloachristiannetwork.com/‬
< Art by Kang, Dong Seok 강동석>